본문 바로가기

기계기술사3

방전가공 1. 개요 방전기의 원리를 구리, 흑연 등 비교적 가공이 용이한 전도성 재료를 전극(공구)으로 하여 이 전극과 공작물과 사이에 60~100V 전압을 양극 간에 가하면 간헐적인 방전이 일어나는데 이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적 소모 현상을 이용하는 가공법이다.. 2. 방전 가공유 역할 1) 극간의 절연 회복(가공성) 가공체와 전극 사이에서 계속해서 전류가 흐르게 되면 방전가공이 성립되지 않는다. 가공체와 전극 사이에서 가공액이 절연제 역할을 함으로써 간헐적 방전이 발생하고 이상적인 소모현상으로 가공이 진행된다. 가공액은 방전가공의 가공성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 2) 방전 폭압 억제 30~100V 이상의 전압으로 발생되는 스파크의 폭발 압력을 억제해 주어 가공상에서 제품의 변형, 설비파손, 작업자의 안전등을.. 2023. 1. 20.
탄소강에 함유된 5대 원소 탄소강에 함유된 5대 원소 1. 탄소 (C) C량이 증가에 따라 항복강도와 인장강도, 경도가 증가하고 연신율, 수축률은 감소한다. 2. 규소 (Si) 0.3% 이상 함유하면 경도, 인장강도, 탄성한도를 높이지만 연신율, 충격값은 감소한다. 규소는 결정입자 성장을 크게 하여 단접성과 냉간 가공성을 나쁘게 한다. 3. 망간 (Mn) 강중에는 Mn(망간)이 0.2~0.8% 함유되어 일부는 강에 고용되고, 나머지는 황(S)과 결합하여 황화망간 (MnS)으로 된다. 4. 황 (S) 철과 화합하여 황화철을 (FeS)을 만든다. 적열 취성의 원인 황화철은 융점이 낮아 고온에서 취약하고 가공할 때 파괴의 원인이 된다. 5. 인 (P) 철과 화합하여 인화철 (Fe3P)을 만들어 결정입계에 편석을 일으켜 충격값을 저하시키.. 2022. 12. 24.
탄소강의 취성 4가지 탄소강의 취성 4가지 (온도에 따른 기계적 성질의 변화) 1. 청열취성 200~300도에서는 인장강도는 크지만 연신율 및 인성이 저하되는데 이때 취성이 나타나며 청색의 산화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청열취성이라 한다. blue shortness 2. 적열취성 황(s)를 많이 함유한 탄소강은 약 950도에서 인성이 저하되어 메지게 되는 현상 red shortness 3. 상온취성 탄소강이 상온에서 인(P)을 다량 함유할 때 인성이 저하되는 성질 cold shortness 4. 저온취성 상온이하로 온도가 내려갈수록 경도와 강도는 증가하지만 충격값이 크게 감소하여 -70도 부근에서는 충격치가 0에 가까워지고 취성이 생기는 성질 2022.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