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재료17 열간 가공시 발생하는 적열취성(Hot shortness) 강 중에 들어있는 황(S)은 망간과 결합하여 MnS로 존재한다. 하지만 MnS를 만들고 남은 황(S)이 존재하면 이것은 강 중의 FeS를 만들게 되어 이 FeS(황화철)은 FeS(황화철)은 Fe와 공정을 만들어 입계에 망상으로 분포한다.이 상태의 황은 0.02% 정도만 있어도 인장강도, 연신율, 충격치를 감소시킨다. 또한 황화철은 융점이 1193도로 매우 낮아서 고온에서 취약하며, 가공 시 파괴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을 적열취성(Hot shortness)이라 하며 고온취성 또는 열간취성 이라고도 한다. 2025. 3. 3. 변태유기소성(TRIP) 변태유기소성이란? 가공유기 변태를 완료한 강제품은 매우 강화되어 인성과 연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가공유기변태 중에는 변태에 의해 생성된 Martensite 조직이 가공경화율을 증대하여 단면수축률이 제어되는 변태를 하므로 응력집중을 완화하여 균열을 발생시키지 않게 하기 위한 과정에서 연신율이 크게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변태유기소성(TRIP)이라 한다. 2025. 3. 3. 4. 같은 재질이라면 대 · 소에 관계없이 같게 경화 되는가? 4. 같은 재질이라면 대 · 소에 관계없이 같게 경화되는가?이것은 그렇지 않다. 담금질 경화는 부품이 클수록 나빠진다.이와 같은 것을 질량효과 ( Mass Effect )라 한다. 어느 크기 이상이 되면 표면에서는 경화가 되지만, 내부에서는 냉각 속도가 늦어져서경화가 되지 못하게 되며, 더욱 크게 되면 표면에서도 충분한 경화가 되지 못하고 만다.이와 같이 경화가 나빠지는 정도를 좌우하는 것은 각각의 강의 강화능으로서,경화능이 나쁜 s-c 재는 경화능이 좋은 SCM 재보다 질량 효과가 크다라고 표현된다. 2025. 2. 23. 3. 경도가 크면 취약하고, 연성이 크면 점성이 크게 되는가? 3. 경도가 크면 취약하고, 연성이 크면 점성이 크게 되는가?확실한 것은 경도가 크면 취약하지만, 연한 것이 곧 점성이 큰 것은 아니다.연해지면 연성이 크게 될 뿐이다.점성=인성 이것은 퀜칭과 탬퍼링, 즉 조질을 할 때 얻어지는 성질이다.인장시험에서는 연성을 알고, 충격시험에서는 충격치, 즉 인성을 아는 것이다.경도가 크면 취약하고, 연성이 크면 점성이 크게 되는가? 이것도 틀리는 말이다. 2025. 2. 23.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