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기술사15 표면 거칠기 1. 표면거칠기 가공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규칙적이거나 불규칙 적인 요철을 말한다. 요철 없이 이상적이 표면을 갖는 것은 생산 공학적으로 불가능하며 비경제적이므로 사용 목적과 기능에 따라 적절하게 표면을 다듬어야 한다. 이때 표면 거칠기란 이상적인 표면에서부터의 거칠기 정도를 말한다. 2. 표면 거칠기의 종류 1. 중심선 평균 거칠기 (R_a) : 거칠기 곡선에서 기준길이 전체에 걸쳐 평균선으로 부터 벗어나는 모든 봉우리와 골짜기의 편차 평균값. 2. 최대높이(R_Max) : 단면 곡선으로 가장 높은 봉우리에서 가장 깊은 골짜기까지의 수직 거리. 3. 10점 평균 거칠기(R_z) : 가장 높은 봉우리 5 곳, 가장 깊은 골짜기 5곳의 평균 깊이 차. 2023. 1. 14. 표면처리에 대해 설명하시오. 표면처리에 대해 설명하시오. 1. 도금 강을 가열 처리하지 않고, 강의 표면을 다른 금속으로 피복해서 표면의 강도를 높이고, 광택을 증가시키며, 내식성을 증대시키는 표면처리법을 도금이라고 한다. 성형재료에 의한 부식을 방지 성형품 표면의 광택을 높인다. 1) 경질 크롬 도금 보통 도금의 두께는 0.005~0.05mm 정도로 한다. 금형에 도금할 경우는 0.01~0.02mm 정도의 두께로 도금한다. 비커스 경도로 900~1000 정도이다. 경면 마무리로 되어 있는 도금면은 이형이 매우 우수하다. 내마모성이 있어서 흠집이 나기 어렵다. 크롬은 염산, 묽은 유산을 제외한 약품에 대해서 내식성이 좋다. 2) 무전해 니켈 도금 전해작용을 일으키게 하지 않고 순수한 화학작용에 의존하는 것으로 도금액에 담긴 피처리재.. 2022. 12. 29. 이온 질화법 이온 질화법 1. 이온질화법의 개요 1. 철강 재료의 표면층 경화 및 내부 인성 유지 2. 내마모성, 내 피로성, 내부식성, 윤활성 등 기계적 성질 향상 3. 기계요소에는 마찰 부분이 많고 가혹한 조건하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 내용의 보완 수단으로 강의 표면경화와 부분 경화법이 사용된다. 2. 이온 질화법 진공 속에서 전극에 전압을 가하여 Glow 방전을 하면 음극은 고에너지 발열과 침투 현상을 일으키면서 전압이 강하하는 것을 이용하여 적당한 가스분위기 속에서 Glow 방전으로 음극을 질화하는 것을 이온 질화법이라고 한다. 1) 장점 질화중 스퍼터링을 일으켜 보통 질화와 같이 살이 두꺼워지지 않는다. glow 가열은 균일하게 일어나며 glow 압력도 적어 변형이 적다. glow가 일단 물품을 커.. 2022. 12. 28. 고주파 담금질, 화염경화, 산화물 피복처리(TD 처리) 고주파 담금질 표면 담금질법의 일종이며 주로 표면의 내마모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강재의 표면을 고주파로 급격히 가열하여 담금질 온도에 도달하는 순간에 가열을 중지하고, 적당한 냉각제를 사용하여 담금질하는 방법이다. 화염 경화 산소 아세틸렌 화염에 의해 희망하는 표면을 담금질 온도까지 급속히 가열하고, 이어서 이것을 물로 냉각해서 경화시키는 방법을 화염경화라고 한다. 외주부 만을 담금질 경화시키므로 담금질 변형이 적어 어떠한 형상, 크기의 강제품에도 손쉽게 응용된다. 산화물 피복(TD 처리) TD 프로세스는 확산법에 의한 탄화물피복법의 일종이다. 처리방법은 거의 담금질 온도인 850~1050℃로 유지된다. V, Cr, Ti 등의 탄화물 형성원소를 함유한 용융 붕사욕조 중에 피처리재를 담가 유지한다. .. 2022. 12. 28.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