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고시21 담금질과 뜨임 담금질과 뜨임 공정 ( Quenching, Tempering) 1. 강재별 열처리 방법 1) 기계 구조용 탄소강(SM계) - 불림처리 2) 탄소 공구강(STC) - 구상화 풀림(변형방지 700℃, 노냉) →담금질→뜨임(2~3회) 3) 구조용 특수강(SCr, SNC, SNCM, SMC) - 담금질 → 뜨임(2회) 4) 합금 공구강(STC) - 구상화 풀림 → 담금질 → 뜨임(2회) → 완전 풀림 강재구분 1단 예열 담금질 가열 냉각방법 뜨임 탄소 공구강(STC) 400 ~ 500 ℃ 770 ~ 810 ℃ 수냉 150 ~ 200 ℃ 구조용 특수강 500 ~ 550 ℃ 800 ~ 850 ℃ 유냉 500 ~ 600 ℃ 합금공구가(STS) 500 ~ 550℃ 800 ~ 850 ℃ 유냉 150 ~ 200 ℃ 2023. 1. 15. 표면 거칠기 측정법 표면 거칠기 측정법 1) 비교용 표준 편과의 비교 측정 사람의 손가락 감각으로 표준 편과 가공된 제품과의 표면 거칠기를 비교 측정. 2) 광 절단식 표면거칠기 측정법 측정 표면에 대해 일정 방향에서 빛을 투사하여 표면을 광학적으로 절단한 것을 반사광 측에서 현미경으로 측정하는 방식. 3) 광파 간섭식 표면 거칠기 측정법 기준 반사면과 피측정면에 의하여 반사되는 빛의 중첩에 의하여 생기는 광파간섭 무늬를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측정. 4) 촉침식 표면 거칠기 측정법 표면거칠기 측정법의 대표적인 방법. 측정 원리는 피측정면에 수직으로 움이직는 촉침으로 피측정면의 표면을 긁어서 상하의 움직임 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시켜 화면에 표시한다. 2023. 1. 15. 정밀측정 정밀측정 기계 가공된 공작물이나 기계요소의 치수, 각도, 형상 등을 단위와 함께 양으로 표현하는 행위를 말한다. 1) 정밀 측정의 필요성 요구사항의 일치 여부 공작물 품질 수준의 파악 작업자나 사용 기계의 적절성 파악 2) 측정방법 1.길이측정 가) 영위법 :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을 정하여 측정량과 비교 나) 보상법 : 측정량을 기준양으로 뺀 나머지 값을 편위법으로 측정 다) 치환법 : 기준량과 측정양을 번갈아 가면서 측정 2.비교측정 가) 영위법 나) 편위법 : 아날로그 신호를 눈금으로 세분화하여 비교 3) 측정기 선정 시 고려사항 제품 공차의 1/10 보다 높은 정도의 측정기를 사용할 것 제품 수량이 많은 것은 한계 게이지 사용. ( Go-No 게이지 등) 고무, 종이, 합성 수지등 연질은 비접촉식 .. 2023. 1. 13. 침탄 담금질 (침탄법) 질화법 침탄법 침탄법은 0.2% 이하 저탄소강의 표면에 탄소를 침투시켜 고탄소강으로 만든 후 이것을 열처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 내부는 저탄소강으로 담금질 경화가 이루어지지 않지만, 외부는 고탄소강 조직으로 표면 경화층을 얻는 열처리. 침탄법 종류 고체 침탄법 : 목탄, 코크스 액체 침탄법 : 청화가리, 청화소다 등 가스 침탄법 : 일산화 탄소, 탄화수소를 함유한 석탄 가스 질화법 질화법은 다른 표면 경화 방법과 달리 변태점 이하의 상당히 낮은 온도에서 처리된다. 500~600℃ 온도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변형이 적은 표면경화법이다. 높은 경도를 얻기 위해 Cr, Mo 등의 질화물 원소를 함유하는 강종이 필수이므로 많은 제한이 따른다. 질화법 종류 가스질화 이온질화 침탄질화 침탄 질화 - 침탄층의 경도는 질화층 보.. 2023. 1. 12.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