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열간 가공시 발생하는 적열취성(Hot shortness) 강 중에 들어있는 황(S)은 망간과 결합하여 MnS로 존재한다. 하지만 MnS를 만들고 남은 황(S)이 존재하면 이것은 강 중의 FeS를 만들게 되어 이 FeS(황화철)은 FeS(황화철)은 Fe와 공정을 만들어 입계에 망상으로 분포한다.이 상태의 황은 0.02% 정도만 있어도 인장강도, 연신율, 충격치를 감소시킨다. 또한 황화철은 융점이 1193도로 매우 낮아서 고온에서 취약하며, 가공 시 파괴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을 적열취성(Hot shortness)이라 하며 고온취성 또는 열간취성 이라고도 한다. 2025. 3. 3.
탄소강에 함유된 5대 원소 탄소강에 함유된 5대 원소 1. 탄소 (C) C량이 증가에 따라 항복강도와 인장강도, 경도가 증가하고 연신율, 수축률은 감소한다. 2. 규소 (Si) 0.3% 이상 함유하면 경도, 인장강도, 탄성한도를 높이지만 연신율, 충격값은 감소한다. 규소는 결정입자 성장을 크게 하여 단접성과 냉간 가공성을 나쁘게 한다. 3. 망간 (Mn) 강중에는 Mn(망간)이 0.2~0.8% 함유되어 일부는 강에 고용되고, 나머지는 황(S)과 결합하여 황화망간 (MnS)으로 된다. 4. 황 (S) 철과 화합하여 황화철을 (FeS)을 만든다. 적열 취성의 원인 황화철은 융점이 낮아 고온에서 취약하고 가공할 때 파괴의 원인이 된다. 5. 인 (P) 철과 화합하여 인화철 (Fe3P)을 만들어 결정입계에 편석을 일으켜 충격값을 저하시키.. 2022.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