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3

코팅(coating) 코팅(coating) TiN : 황금색 → 기본적인 코팅 → 절삭 공구, 포밍공구, 일반부품 TiCN : 진회색 → TiN 대비 내마모성 강화 → 절삭 공구, 포밍공구, 건식 공구 TiAlN : 검은 회색 → 고온 경도, 고속 작업, 내산화성 CrN : 은색 → 박막이 매우 치밀, 뛰어남 밀착력, 내마모성, 내산화성, 내 소착 우수 DLC : 검은색 → 경도가 가장 높음, 높은 내마모성 → 슬라이딩 부품 AlTiN : 회색 → 고온 경도, 내산화성 → 절삭 공구, 고경도 가공용, 고속/건식 공구 Ta-C : 검은색 + 레인보우 → 윤활성, 내 융착성 → 마이크로드릴, 비철금속, 가공공구 2022. 12. 29.
표면처리 증착처리 1) 물리적 증착법(PVD) 물리적 증착법에서 대표적인 방법은 이온플레이팅이라고 하며, 진공조 내에 도입한 탄화수소(또는 질소)와 증발시킨 Ti를 전극 간에 형성시킨 glow 방전 사이에서 활성화 반응시켜 생성한 Tic 또는 TiN을 음극의 금형표면에 증착시키는 것이다. 2) 화학적 증착법(CVD) 화학적 증착법은 피처리재를 사염화티탄과 수소 탄화수소 또는 질소의 혼합 가스기류 중에 넣고, 800~1200℃로 가열했을 때 환원되는 Ti과 피처리재 중의 탄소를 결합시켜, 표면에 TiC 층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3) 용사 용융상태에 있는 금속 등의 입자를 연속적으로 모재 표면에 내뿜어 피막을 적층 하는 기술을 용사법이라고 한다. 용사 되는 재료는 탄소강, 저 합금강, 스테인레스강, 구리, 구리합금,.. 2022. 12. 29.
표면처리에 대해 설명하시오. 표면처리에 대해 설명하시오. 1. 도금 강을 가열 처리하지 않고, 강의 표면을 다른 금속으로 피복해서 표면의 강도를 높이고, 광택을 증가시키며, 내식성을 증대시키는 표면처리법을 도금이라고 한다. 성형재료에 의한 부식을 방지 성형품 표면의 광택을 높인다. 1) 경질 크롬 도금 보통 도금의 두께는 0.005~0.05mm 정도로 한다. 금형에 도금할 경우는 0.01~0.02mm 정도의 두께로 도금한다. 비커스 경도로 900~1000 정도이다. 경면 마무리로 되어 있는 도금면은 이형이 매우 우수하다. 내마모성이 있어서 흠집이 나기 어렵다. 크롬은 염산, 묽은 유산을 제외한 약품에 대해서 내식성이 좋다. 2) 무전해 니켈 도금 전해작용을 일으키게 하지 않고 순수한 화학작용에 의존하는 것으로 도금액에 담긴 피처리재.. 2022. 12. 29.
이온 질화법 이온 질화법 1. 이온질화법의 개요 1. 철강 재료의 표면층 경화 및 내부 인성 유지 2. 내마모성, 내 피로성, 내부식성, 윤활성 등 기계적 성질 향상 3. 기계요소에는 마찰 부분이 많고 가혹한 조건하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 내용의 보완 수단으로 강의 표면경화와 부분 경화법이 사용된다. 2. 이온 질화법 진공 속에서 전극에 전압을 가하여 Glow 방전을 하면 음극은 고에너지 발열과 침투 현상을 일으키면서 전압이 강하하는 것을 이용하여 적당한 가스분위기 속에서 Glow 방전으로 음극을 질화하는 것을 이온 질화법이라고 한다. 1) 장점 질화중 스퍼터링을 일으켜 보통 질화와 같이 살이 두꺼워지지 않는다. glow 가열은 균일하게 일어나며 glow 압력도 적어 변형이 적다. glow가 일단 물품을 커.. 2022.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