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3 측정오차 1. 측정오차 동일 측정기로 하나의 부품을 반복적으로 측정할 때 반드시 측정값이 같지 않고 편차가 생길 때가 있다. 이러한 이유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측정 시에 오차가 포함되기 때문이다. 오차는 측정값 빼기 참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2. 측정 오차의 종류 측정 오차는 시차, 온도의 영향, 측정기 구조에 의한 오차, 측정력에 의한 오차, 접촉오차 등이 있다. 1. 시차 - 측정자의 부주의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측정자의 눈의 위치에 따라 눈금 읽는 값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 2. 온도 영향에 의한 오차 - 모든 물체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 든다. - 피 측정물의 길이는 측정할 때 온도에 따라 다르게 된다. 3. 측정기구에 의한 오차 - 표준자와 피측정물은 동일 축 선상에 있어야 한다는 아베.. 2023. 1. 13. 정밀측정 정밀측정 기계 가공된 공작물이나 기계요소의 치수, 각도, 형상 등을 단위와 함께 양으로 표현하는 행위를 말한다. 1) 정밀 측정의 필요성 요구사항의 일치 여부 공작물 품질 수준의 파악 작업자나 사용 기계의 적절성 파악 2) 측정방법 1.길이측정 가) 영위법 :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을 정하여 측정량과 비교 나) 보상법 : 측정량을 기준양으로 뺀 나머지 값을 편위법으로 측정 다) 치환법 : 기준량과 측정양을 번갈아 가면서 측정 2.비교측정 가) 영위법 나) 편위법 : 아날로그 신호를 눈금으로 세분화하여 비교 3) 측정기 선정 시 고려사항 제품 공차의 1/10 보다 높은 정도의 측정기를 사용할 것 제품 수량이 많은 것은 한계 게이지 사용. ( Go-No 게이지 등) 고무, 종이, 합성 수지등 연질은 비접촉식 .. 2023. 1. 13. 침탄 담금질 (침탄법) 질화법 침탄법 침탄법은 0.2% 이하 저탄소강의 표면에 탄소를 침투시켜 고탄소강으로 만든 후 이것을 열처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 내부는 저탄소강으로 담금질 경화가 이루어지지 않지만, 외부는 고탄소강 조직으로 표면 경화층을 얻는 열처리. 침탄법 종류 고체 침탄법 : 목탄, 코크스 액체 침탄법 : 청화가리, 청화소다 등 가스 침탄법 : 일산화 탄소, 탄화수소를 함유한 석탄 가스 질화법 질화법은 다른 표면 경화 방법과 달리 변태점 이하의 상당히 낮은 온도에서 처리된다. 500~600℃ 온도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변형이 적은 표면경화법이다. 높은 경도를 얻기 위해 Cr, Mo 등의 질화물 원소를 함유하는 강종이 필수이므로 많은 제한이 따른다. 질화법 종류 가스질화 이온질화 침탄질화 침탄 질화 - 침탄층의 경도는 질화층 보.. 2023. 1. 12. 2% offset 항복점 응력 변화에 따른 변형률 증가로 부터 항복점을 뚜렷하게 찾을 수 없는 재료(주철, 알루미늄)의 항복점을 결정하는 방법 1. 항복점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커져서 압축, 인장, 굽힘, 비틀림과의 비례관계가 깨지고 변형만이 급격히 증가할 때의 응력. 2. 응력 응력이란 물질에 압축, 인장, 굽힘, 비틀림 등의 외력을 가했을때, 물질 내에 생기는 저항력을 의미한다. 3. 알루미늄의 항복점 결정 방법 알루미늄과 같은 재료는 뚜렷한 항복점이 나타나지 않는다. 알루미늄의 비례 한도를 지나 큰 변형이 일어 날 때 0.2% 만큼의 변형률을 offset 시켜서 응력-변형률 곡선과의 교점을 항복 응력으로 정의한다. 이 값을 내력이라고 한다. 2023. 1. 9. 이전 1 ··· 4 5 6 7 8 9 10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