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3 공구수명과 날끝형상 공구수명과 날 끝형상 (1) 경사각 (크레이터각) 1) 고속도강 경사각 증가→절삭온도 감소 →공구수명 증가 경사각이 지나치게 크면 →공구인선강도 부족 →치핑에 의한 공구수명 감소 하게 된다. 공구 경사각은 제한하여 적정하게 사용한다. (고속도강은 40도 이내, 초경합금은 15도 이내) (2) 여유각 (플랭크각) 1) 연한소재의 금속 절삭 시 여유면에 가공재가 들러붙는 현상이 자주 일어나는 소재. 2) 핍이 여유면에 끼워져 절삭날 파손 초래 시. 3) 위의 1), 2)와 같은 경우에는 여유각을 크게 증가시켜야 공구수명이 증가된다. 2023. 1. 22. 방전가공 1. 개요 방전기의 원리를 구리, 흑연 등 비교적 가공이 용이한 전도성 재료를 전극(공구)으로 하여 이 전극과 공작물과 사이에 60~100V 전압을 양극 간에 가하면 간헐적인 방전이 일어나는데 이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적 소모 현상을 이용하는 가공법이다.. 2. 방전 가공유 역할 1) 극간의 절연 회복(가공성) 가공체와 전극 사이에서 계속해서 전류가 흐르게 되면 방전가공이 성립되지 않는다. 가공체와 전극 사이에서 가공액이 절연제 역할을 함으로써 간헐적 방전이 발생하고 이상적인 소모현상으로 가공이 진행된다. 가공액은 방전가공의 가공성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 2) 방전 폭압 억제 30~100V 이상의 전압으로 발생되는 스파크의 폭발 압력을 억제해 주어 가공상에서 제품의 변형, 설비파손, 작업자의 안전등을.. 2023. 1. 20. Wire Cut 방전 Wire Cut 방전 1. 원리 및 용도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는 공작물(+)과 연속적으로 보내지는 와이어(-) 사이에 방전이 발생해 가공하며, 프레스 금형 제작에서 펀치나 다이를 열처리 한 후 직접 가공할 수 있어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 한 초경합금, 다이아몬드등과 같은 난삭재 및 미세 형상의 가공에 적합한 가공법이다. 2. 전극재료와 특징 1) 재료재료 동, 황동, 텅스텐등의 재질로 된 가는 와이어 전극을 이용. 황동과 동이 주로 많이 사용되며, 구하기 쉽고 경제적이며 가공속도가 빠른 것이 특징. 텅스텐은 항장력이 높아 지름이 작아도 사용 가능한 특징이 있다. - 황동 굵기 : Ø0.1~0.25mm - 동 굵기 : Ø0.15~0.25mm - 텅스텐 굵기 : Ø0.05~0.1mm 3. 특성 담금.. 2023. 1. 19. 연삭 숫돌 파괴 원인 연삭숫돌 파괴 원인 1. 개요 연삭숫돌의 사용 중에 파손되는 주요 원인은 사용 도중 연삭숫돌에 외적인 스트레스를 가해져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2. 연삭숫돌이 파괴되는 원인. 1) 숫돌에 표기한 최고 사용주속도의 기준을 초과하여 사용 운전에 앞서 숫돌의 최고 사용주속도를 확인하고 지정된 속도 이하에서 안전하게 사용. 2) 숫돌의 표면에 이미 금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 소비자에게 운반되는 과정에서의 숫돌 부위에 금이 발생되는 경우를 대 비하여 숫돌의 사용 전에는 반드시 철저한 외관검사와 음향검사를 실시. 3분 이상 사용 주속에서 무부하 상태로 공회전시켜서 안전함을 확인하여 사용. 3) 숫돌을 사용하다 다음 작업 시에 숫돌의 표면에 금이 발생되는 경우. 숫돌은 연삭 작업 시 표면의 순간온도가 대략 600℃~.. 2023. 1. 19.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9 다음